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유럽 축구 연맹(UEFA)이 주관하는 클럽 대항전으로, 2022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총 53개국 78개 팀이 참가했으며, 각 국가별 참가 팀 수는 UEFA 계수에 따라 결정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 클럽은 참가가 금지되었고, 2022년 FIFA 월드컵 개최로 인해 조별 리그 일정이 변경되었다. 대회는 예선,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2023년 6월 10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맨체스터 시티가 인터 밀란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선 토너먼트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결선 토너먼트는 조별 리그를 통과한 16개 팀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16강전부터 준결승전까지 치러 우승팀을 가리는 단계로, 2023년 6월 10일 이스탄불에서 맨체스터 시티 FC가 FC 인테르나치오날레를 꺾고 우승했다. -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는 32개 팀이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팀은 16강에 진출하고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로, 4위 팀은 탈락한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을 받은 스포츠 행사 - 2022년 월드 게임
2022년 월드 게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1년 연기되어 2022년 7월 미국 버밍햄에서 99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30개 공식 종목과 5개 초청 종목으로 진행된 국제 종합 스포츠 대회이며, 독일이 가장 많은 금메달을 획득했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영향을 받은 스포츠 행사 -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22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2022년 7월 15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오리건주 유진에서 개최되었으며, 179개국 1,700명 이상의 선수들이 참가한 가운데 대한민국 우상혁 선수가 높이뛰기 은메달을 획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8-99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8년 9월부터 1999년 5월까지 개최되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바이에른 뮌헨을 꺾고 우승했고, 안드리 세브첸코와 드와이트 요크가 8골로 공동 득점왕을 기록했다. - UEFA 챔피언스리그 시즌 -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
1996-97년 UEFA 챔피언스리그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5월까지 열린 유럽 축구 클럽 대항전으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유벤투스를 꺾고 우승했으며 이탈리아는 두 팀을 조별 리그에 진출시킨 최초의 국가가 되었다.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UEFA 챔피언스리그 |
시즌 | 2022-23 시즌 |
![]() | |
기간 | 예선: 2022년 6월 21일 - 2022년 8월 24일 본선: 2022년 9월 6일 - 2023년 6월 10일 |
참가 팀 수 | 본선: 32팀 총: 78팀 |
참가 협회 수 | 53 |
결과 | |
우승 팀 | 맨체스터 시티 |
우승 횟수 | 1회 |
준우승 팀 | 인테르 |
3위 팀 | AC 밀란 레알 마드리드 |
통계 | |
경기 수 | 125 |
총 득점 | 372 |
총 관중 수 | 6,194,200 |
최다 득점 선수 | 엘링 홀란 (맨체스터 시티) |
최다 득점 | 12골 |
대회 최우수 선수 | 로드리 (맨체스터 시티) |
영 플레이어 상 | 흐비차 크바라첼리아 (나폴리)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21-22 시즌 |
다음 시즌 | 2023-24 시즌 |
2. 대회 방식
2. 1. 참가 팀 배분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는 유럽 축구 연맹(UEFA) 회원국 55개 중 53개 협회(러시아, 리히텐슈타인 제외)에서 총 78개 팀이 참가한다.[4] 각 국가별 참가 팀 수는 UEFA 계수에 따라 결정되며, 2021년 UEFA 계수는 2016-17 시즌부터 2020-21 시즌까지의 성적을 반영한다.[5]- 협회 1–4위는 각 4팀이 본선에 직행한다.
- 협회 5–6위는 각 3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협회 7–15위(단, 러시아 제외)는 각 2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 협회 16–55위(단, 리히텐슈타인 제외)는 각 1팀이 예선부터 참가한다.
- 2021-22 UEFA 챔피언스리그 및 2021-22 UEFA 유로파리그 우승팀은 자국 리그를 통해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지 못한 경우 각 1장의 추가 출전권을 받았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러시아가 참가 금지 처분을 받았고, 2021-22년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레알 마드리드)이 자국 리그를 통해 본선 진출권을 획득함에 따라, 참가팀 목록에 다음과 같은 변경 사항이 적용되었다.[7]
-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와 12순위 국가(우크라이나) 리그 우승팀이 플레이오프 예선 대신 본선 조별 리그에 직행한다.
- 13순위 국가(터키)와 14순위 국가(덴마크) 리그 우승팀이 3차예선 대신 플레이오프 예선에 진입한다.
- 15순위 국가(키프로스)와 16순위 국가(세르비아) 리그 우승팀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 18순위 국가(크로아티아), 19순위 국가(스위스), 20순위 국가(그리스)와 21순위 국가(이스라엘) 리그 우승팀들이 1차예선 대신 2차예선에 진입한다.
- 10순위 국가(오스트리아)와 11순위 국가(스코틀랜드) 리그 2위팀들이 2차예선 대신 3차예선에 진입한다.
순위 | 국가 축구 협회 | 계수 | 팀수 | 비고 |
---|---|---|---|---|
1 | 잉글랜드 | 100.569 | 4 | |
2 | 스페인 | 97.855 | ||
3 | 이탈리아 | 75.438 | ||
4 | 독일 | 73.570 | ||
5 | 프랑스 | 56.081 | 3 | |
6 | 포르투갈 | 48.549 | ||
7 | 네덜란드 | 39.200 | 2 | |
8 | 러시아(무기한 참가금지) | 38.382 | 0 | |
9 | 벨기에 | 36.500 | 2 | |
10 | 오스트리아 | 35.825 | ||
11 | 스코틀랜드 | 33.375 | ||
12 | 우크라이나 | 33.100 | ||
13 | 튀르키예 | 30.100 | ||
14 | 덴마크 | 27.875 | ||
15 | 키프로스 | 27.750 | ||
16 | 세르비아 | 26.750 | 1 | |
17 | 체코 | 26.600 | ||
18 | 크로아티아 | 26.275 | ||
19 | 스위스 | 26.225 |
순위 | 국가 축구 협회 | 계수 | 팀수 |
---|---|---|---|
20 | 그리스 | 26.000 | 1 |
21 | 이스라엘 | 19.625 | |
22 | 노르웨이 | 21.750 | |
23 | 스웨덴 | 22.750 | |
24 | 불가리아 | 17.375 | |
25 | 루마니아 | 16.700 | |
26 | 아제르바이잔 | 18.750 | |
27 | 카자흐스탄 | 19.250 | |
28 | 헝가리 | 10.500 | |
29 | 벨라루스 | 18.875 | |
30 | 폴란드 | 16.625 | |
31 | 슬로베니아 | 15.000 | |
32 | 슬로바키아 | 15.625 | |
33 | 리히텐슈타인 | 7.125 | 0 |
34 | 리투아니아 | 6.750 | 1 |
35 | 룩셈부르크 | 5.500 |
순위 | 국가 축구 협회 | 계수 | 팀수 |
---|---|---|---|
36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7.125 | 1 |
37 | 아일랜드 | 7.450 | |
38 | 북마케도니아 | 8.000 | |
39 | 아르메니아 | 5.250 | |
40 | 라트비아 | 5.625 | |
41 | 알바니아 | 7.500 | |
42 | 북아일랜드 | 3.875 | |
43 | 조지아 | 4.750 | |
44 | 핀란드 | 7.275 | |
45 | 몰도바 | 7.750 | |
46 | 몰타 | 5.125 | |
47 | 페로 제도 | 4.000 | |
48 | 코소보 | 2.500 | |
49 | 지브롤터 | 4.000 | |
50 | 몬테네그로 | 4.125 | |
51 | 웨일스 | 4.125 | |
52 | 아이슬란드 | 7.250 | 1 |
53 | 에스토니아 | 5.000 | |
54 | 안도라 | 1.831 | |
55 | 산마리노 | 0.666 |
2. 2. 경기 일정 및 방식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의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13][14] 예선 라운드는 2022년 6월부터 8월까지, 조별 리그는 9월부터 11월까지, 결선 토너먼트는 2023년 2월부터 6월까지 진행되었다.예선 라운드는 예비 예선, 1차 예선, 2차 예선, 3차 예선, 플레이오프로 구성되었다. 예비 예선은 2022년 6월 7일에 조 추첨이 진행되었고, 준결승전은 6월 21일, 결승전은 6월 24일에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에서 단판 경기로 진행되었다.[28] 예비 예선 결승전 승자는 비킹귀르 레이캬비크(ISL)였다.[28] 1차 예선은 7월 5-6일과 7월 12-13일에, 2차 예선은 7월 19-20일과 7월 26-27일에, 3차 예선은 8월 2-3일과 8월 9일에 각각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는 8월 16-17일과 8월 23-24일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FC 코펜하겐(DEN), 레인저스(SCO), 디나모 자그레브(CRO), 마카비 하이파(ISR), 빅토리아 플젠(CZE), 벤피카(POR)가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조별 리그에 진출했다.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22년 8월 25일에 터키 이스탄불에서 열렸다.[12] 32개 팀이 4팀씩 8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고,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조별 리그는 2022년 FIFA 월드컵으로 인해 2022년 9월 6-7일에 시작하여 11월 1-2일에 종료되었다.[10]
결선 토너먼트는 16강부터 결승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승전은 2023년 6월 10일 터키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 이후 경기에서는 선수 교체가 최대 5명까지 허용되었으며, 연장전에 돌입할 경우 6명까지 교체할 수 있었다.
단계 | 라운드 | 추첨 날짜 | 1차전 | 2차전 |
---|---|---|---|---|
예선 | 예선 라운드 | 2022년 6월 7일 | 2022년 6월 21일 (준결승) | 2022년 6월 24일 (결승) |
1차 예선 | 2022년 6월 14일 | 2022년 7월 5–6일 | 2022년 7월 12–13일 | |
2차 예선 | 2022년 6월 15일 | 2022년 7월 19–20일 | 2022년 7월 26–27일 | |
3차 예선 | 2022년 7월 18일 | 2022년 8월 2–3일 | 2022년 8월 9일 | |
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라운드 | 2022년 8월 2일 | 2022년 8월 16–17일 | 2022년 8월 23–24일 |
조별 리그 | 1일차 | 2022년 8월 25일 | 2022년 9월 6–7일 | |
2일차 | 2022년 9월 13–14일 | |||
3일차 | 2022년 10월 4–5일 | |||
4일차 | 2022년 10월 11–12일 | |||
5일차 | 2022년 10월 25–26일 | |||
6일차 | 2022년 11월 1–2일 | |||
토너먼트 | 16강 | 2022년 11월 7일 | 2023년 2월 14–15일 & 21–22일 | 2023년 3월 7–8일 & 14–15일 |
8강 | 2023년 3월 17일 | 2023년 4월 11–12일 | 2023년 4월 18–19일 | |
준결승 | 2023년 5월 9–10일 | 2023년 5월 16–17일 | ||
결승 | 2023년 6월 10일,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 |
조별 리그 조 추첨은 2022년 8월 25일에 진행되었다. 32개 팀이 4개 팀씩 8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16강에 진출하고, 3위 팀은 UEFA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로 진출했다.
3. 조별 리그
같은 협회의 팀들은 같은 조에 편성될 수 없었다.
프랑크푸르트는 2021–22 UEFA 유로파 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한 후, 조별 리그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결과적으로 5개의 독일 클럽이 조별 리그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
총 15개의 국가 협회가 조별 리그에 참여했다. 이번 시즌은 1995–96년 이후 터키 팀이 조별 리그 진출에 실패한 첫 시즌이었다. 또한, 2개의 스코틀랜드 팀이 조별 리그에 진출한 것은 2007–08 시즌 이후 처음이었다.
3. 1. A조
wikitable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비고 |
---|---|---|---|---|---|---|---|---|---|---|---|
1 | 6 | 5 | 0 | 1 | 20 | 6 | +14 | 15 | 16강전 진출 | 리버풀 상대로 상대전적 우세 | |
2 | 6 | 5 | 0 | 1 | 17 | 6 | +11 | 15 | 16강전 진출 | ||
3 | 6 | 2 | 0 | 4 | 11 | 16 | -5 | 6 | 유로파리그 | ||
4 | 6 | 0 | 0 | 6 | 2 | 22 | -20 | 0 | 탈락 |
2022년 9월 7일부터 11월 1일까지 A조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나폴리와 리버풀이 16강에 진출했고, 아약스는 유로파리그로 이동하여 녹아웃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레인저스는 탈락했다.
A조의 경기들은 다음과 같다:
일시 | 홈팀 | 스코어 | 원정팀 | 경기장 |
---|---|---|---|---|
2022년 9월 7일 | 4 - 0 | 요한 크라위프 아레나 | ||
2022년 9월 7일 | 4 - 1 |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 ||
2022년 9월 13일 | 2 - 1 | 안필드 | ||
2022년 9월 14일 | 0 - 3 |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 ||
2022년 10월 4일 | 2 - 0 | 안필드 | ||
2022년 10월 4일 | 1 - 6 | 요한 크라위프 아레나 | ||
2022년 10월 12일 | 4 - 2 |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 ||
2022년 10월 12일 | 1 - 7 |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 ||
2022년 10월 26일 | 3 - 0 | 스타디오 디에고 아르만도 마라도나 | ||
2022년 10월 26일 | 0 - 3 | 요한 크라위프 아레나 | ||
2022년 11월 1일 | 2 - 0 | 안필드 | ||
2022년 11월 1일 | 1 - 3 | 아이브록스 스타디움 |
3. 2. B조
B조의 1위는 포르투갈의 FC 포르투가, 2위는 벨기에의 클뤼프 브뤼허가 차지하였다. 독일의 바이어 레버쿠젠은 조 3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로 이동하였다. 스페인의 아틀레티코 마드리드는 조 최하위로 2022-23 시즌 유럽 클럽 대항전에서 탈락하였다.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B조 순위 | |||||||||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1 | 6 | 4 | 0 | 2 | 12 | 7 | +5 | 12 | |
2 | 6 | 3 | 2 | 1 | 7 | 4 | +3 | 11 | |
3 | 6 | 1 | 2 | 3 | 4 | 8 | -4 | 5 | |
4 | 6 | 1 | 2 | 3 | 5 | 9 | -4 | 5 |
3. 3. C조
3. 4. D조
D조에서는 토트넘 홋스퍼, 프랑크푸르트, 스포르팅, 마르세유가 경합을 벌였다. 6차전에서 토트넘이 마르세유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조 1위를 확정지었고, 프랑크푸르트는 스포르팅을 2-1로 꺾고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다. 스포르팅은 조 3위로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마르세유는 조 4위로 탈락했다.순위 | 팀 | |
---|---|---|
1 | ||
2 | ||
3 | ||
4 |
3. 5. E조
E조의 경기들은 2022년 9월 6일부터 2022년 11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조 추첨식은 2022년 8월 25일에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개최되었다.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E조 순위 | |||||||||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1 | 6 | 4 | 1 | 1 | 10 | 4 | +6 | 13 | |
2 | 6 | 3 | 1 | 2 | 12 | 7 | +5 | 10 | |
3 | 6 | 1 | 3 | 2 | 5 | 9 | -4 | 6 | |
4 | 6 | 1 | 1 | 4 | 4 | 11 | -7 | 4 |
첼시, AC 밀란, 레드불 잘츠부르크, 디나모 자그레브가 E조에 속해 경기를 치렀다. 첼시가 4승 1무 1패, 승점 13점으로 1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AC 밀란은 3승 1무 2패, 승점 10점으로 2위를 기록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레드불 잘츠부르크는 1승 3무 2패, 승점 6점으로 3위를 기록하여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디나모 자그레브는 1승 1무 4패, 승점 4점으로 4위를 기록하여 탈락하였다.
3. 6. F조
F조의 경기들은 2022년 9월 6일부터 2022년 11월 2일까지 진행되었다. 조 추첨식은 2022년 8월 25일에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개최되었다. F조에는 레알 마드리드, 라이프치히, 샤흐타르 도네츠크, 셀틱이 편성되었다.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F조 순위 | |||||||||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1 | 6 | 4 | 1 | 1 | 15 | 6 | +9 | 13 | |
2 | 6 | 4 | 0 | 2 | 13 | 9 | +4 | 12 | |
3 | 6 | 1 | 3 | 2 | 8 | 10 | -2 | 6 | |
4 | 6 | 0 | 2 | 4 | 4 | 15 | -11 | 2 |
width=8% | | 1팀 | 점수 | 2팀 | 날짜 | 경기장 |
---|---|---|---|---|---|
1차전 | 셀틱 | 0-3 | 레알 마드리드 | 2022년 9월 6일 | 셀틱 파크 |
1차전 | 라이프치히 | 1-4 | 샤흐타르 도네츠크 | 2022년 9월 6일 | 레드불 아레나 |
2차전 | 샤흐타르 도네츠크 | 1-1 | 셀틱 | 2022년 9월 14일 | 폴란드 육군 경기장 |
2차전 | 레알 마드리드 | 2-0 | 라이프치히 | 2022년 9월 14일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3차전 | 라이프치히 | 3-1 | 셀틱 | 2022년 10월 5일 | 레드불 아레나 |
3차전 | 레알 마드리드 | 2-1 | 샤흐타르 도네츠크 | 2022년 10월 5일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4차전 | 샤흐타르 도네츠크 | 1-1 | 레알 마드리드 | 2022년 10월 11일 | 폴란드 육군 경기장 |
4차전 | 셀틱 | 0-2 | 라이프치히 | 2022년 10월 11일 | 셀틱 파크 |
5차전 | 셀틱 | 1-1 | 샤흐타르 도네츠크 | 2022년 10월 25일 | 셀틱 파크 |
5차전 | 라이프치히 | 3-2 | 레알 마드리드 | 2022년 10월 25일 | 레드불 아레나 |
6차전 | 레알 마드리드 | 5-1 | 셀틱 | 2022년 11월 2일 | 산티아고 베르나베우 |
6차전 | 샤흐타르 도네츠크 | 0-4 | 라이프치히 | 2022년 11월 2일 | 폴란드 육군 경기장 |
3. 7. G조
범례:
- '''(A)''' 다음 라운드 진출
- '''(Q)''' 지시된 라운드 진출 자격
- '''(E)''' 탈락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G조에는 맨체스터 시티(잉글랜드),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독일), 세비야(스페인), 코펜하겐(덴마크)이 속해 있었다. 맨체스터 시티와 보루시아 도르트문트가 각각 조 1, 2위를 차지하여 16강에 진출하였다. 조 3위를 기록한 세비야는 유로파리그로 전환되었다. 코펜하겐은 조 최하위로 탈락했다.
3. 8. H조
H조에서는 벤피카와 파리 생제르맹이 1,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다. 유벤투스는 3위로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마카비 하이파는 4위로 탈락하였다.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결과 |
---|---|---|---|---|---|---|---|---|---|---|
1 | 6 | 4 | 2 | 0 | 16 | 7 | +9 | 14 | 16강전 진출 | |
2 | 6 | 4 | 2 | 0 | 16 | 7 | +9 | 14 | 16강전 진출 | |
3 | 6 | 1 | 0 | 5 | 9 | 13 | -4 | 3 | 유로파리그 플레이오프 진출 | |
4 | 6 | 1 | 0 | 5 | 7 | 21 | -14 | 3 | 탈락 |
4. 결선 토너먼트
16강전부터 결승전까지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결승전은 2023년 6월 10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단판 승부로 개최되었다.
4. 1. 16강전
2022-23년 UEFA 챔피언스리그 16강전은 조별 리그를 통과한 16개 팀이 맞붙는 단계이다. 각 조 1위 팀은 시드를 배정받고, 2위 팀은 비시드 팀으로 추첨된다. 16강전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1, 2차전 합산 점수가 높은 팀이 8강에 진출한다.조별 리그 각 조 1위팀은 나폴리(이탈리아), 포르투(포르투갈), 바이에른 뮌헨(독일), 토트넘 홋스퍼(잉글랜드), 첼시(잉글랜드), 레알 마드리드(스페인), 맨체스터 시티(잉글랜드), 벤피카(포르투갈)이다. 각 조 2위팀은 리버풀(잉글랜드), 클럽 브뤼허(벨기에), 인테르 밀라노(이탈리아),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독일), 밀란(이탈리아), 라이프치히(독일),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독일), 파리 생제르맹(프랑스)이다.
16강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라이프치히 1-8 맨체스터 시티 (1-1, 0-7)
- 클뤼프 브뤼허 1-7 벤피카 (0-2, 1-5)
- 리버풀 2-6 레알 마드리드 (2-5, 0-1)
- 밀란 1-0 토트넘 홋스퍼 (1-0, 0-0)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0-5 나폴리 (0-2, 0-3)
- 보루시아 도르트문트 1-2 첼시 (1-0, 0-2)
-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0 포르투 (1-0, 0-0)
- 파리 생제르맹 0-3 바이에른 뮌헨 (0-1, 0-2)
이에 따라 맨체스터 시티, 벤피카, 레알 마드리드, 밀란, 나폴리, 첼시,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바이에른 뮌헨이 8강에 진출했다.